오스트리아 공산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스트리아 공산당(KPÖ)은 1918년 11월에 창당된 오스트리아의 공산주의 정당이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오스트리아의 혼란스러운 상황 속에서 창당되었으며, 소비에트 공화국 수립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1933년 오스트리아 파시스트 정권에 의해 불법화되었지만 지하에서 활동을 이어갔고, 나치 독일의 오스트리아 병합에 반대하며 저항 운동을 펼쳤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소련의 지원을 받아 국가적 중요성을 얻었으나, 냉전 시기 소련과의 관계, 경제 회복 등으로 인해 지지를 잃고 쇠퇴했다. 1990년대 동유럽 공산주의 몰락 이후 당의 정체성과 미래에 대한 도전에 직면했으며, 2000년대 이후에는 슈타이어마르크 주를 중심으로 지역 정당으로 부활했다. 2023년 잘츠부르크 주의회 진출, 2024년 유럽 의회 선거에서 3.0% 득표를 기록하는 등 최근 선거에서 성과를 거두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럽공산주의 정당 - 유럽 의회 좌파 – GUE/NGL
유럽 의회 좌파 – GUE/NGL은 유럽 의회 내 좌파 정당 및 의원들의 연합체로, 유럽 통합에 대한 비판적 참여, 신자유주의 반대, NATO 폐지 및 OSCE 강화를 목표로 1995년 결성되었다. - 유럽공산주의 정당 - 프랑스 공산당
프랑스 공산당은 1920년 프랑스 사회당에서 분리되어 창당된 공산주의 정당으로, 인민전선 내각 참여, 레지스탕스 운동, 제4공화국 시기 강력한 정치 세력이었으나, 냉전 시기 고립, 이후 지지율 하락을 겪었으며, 현재는 마르크스-레닌주의를 폐기하고 자본주의 극복과 평등주의적 대안을 추구하며 유럽 회의주의적 경향을 보인다. - 유럽 좌파당 - 좌파당 (독일)
좌파당 (독일)은 독일 사회주의 통일당의 후신인 민주사회당과 사회민주당 탈당파 및 노동조합원들이 결합하여 창당된 정당으로, 민주사회주의를 지향하며 다양한 정파로 구성되어 있다. - 유럽 좌파당 - 민주사회당 (독일)
민주사회당(PDS)은 1989년 동독에서 독일 사회주의 통일당(SED)이 개혁 과정에서 당명을 변경하여 창당되었으며, 동독 민주화 이후 독일 재통일 과정에서 슈타지 연루 의혹과 과거 공산주의와의 관계를 정리하는 과제를 겪었고, 2007년 좌파당으로 통합되었다. - 유럽 연합 좌파-북유럽 녹색 좌파 - 좌파당 (독일)
좌파당 (독일)은 독일 사회주의 통일당의 후신인 민주사회당과 사회민주당 탈당파 및 노동조합원들이 결합하여 창당된 정당으로, 민주사회주의를 지향하며 다양한 정파로 구성되어 있다. - 유럽 연합 좌파-북유럽 녹색 좌파 - 민주사회당 (독일)
민주사회당(PDS)은 1989년 동독에서 독일 사회주의 통일당(SED)이 개혁 과정에서 당명을 변경하여 창당되었으며, 동독 민주화 이후 독일 재통일 과정에서 슈타지 연루 의혹과 과거 공산주의와의 관계를 정리하는 과제를 겪었고, 2007년 좌파당으로 통합되었다.
오스트리아 공산당 - [정당]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오스트리아 공산당 |
로마자 표기 | Kommunistische Partei Österreichs |
약칭 | KPÖ |
창립일 | 1918년 11월 3일 |
본부 | 오스트리아 빈 드렉슬러가쎄 42, A-1140 |
웹사이트 | www.kpoe.at |
지도부 | |
의장 | 귄터 호프가르트너 |
사무총장 | 플로리안 비른그루버 |
이념 및 정치적 위치 | |
이념 | 공산주의 사회주의 마르크스주의 소프트 유로스켑티시즘 |
정치적 위치 | 극좌 |
조직 | |
청년 조직 | 오스트리아 공산주의 청년단 (1970–2004) |
전국 조직 | KPÖ Plus |
국제 조직 | IMCWP |
유럽 조직 | 유럽 좌파당 |
당원 | |
당원 수 (2004년) | 3,500명 |
상징 | |
색상 | 빨강 및 검정 밤색 (관례) |
의석수 | |
국민의회 의석수 | 0 / 183석 |
연방의회 의석수 | 0 / 62석 |
유럽 의회 의석수 | 0 / 18석 |
주 의회 의석수 | 6 / 440석 |
기타 | |
신문 | 아르구멘트 폴크스슈티메 (1945–1991) |
2. 역사
오스트리아 공산당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여러 명의 지도자가 당을 이끌어 왔다.
대 | 성명 | 재임 기간 | 직책 |
---|---|---|---|
1 | 요한 코플레니히 | 1927년 - 1965년 | 의장 |
2 | 프란츠 무리 | 1965년 - 1990년 | 의장 |
3 | 발터 질베르마이어, 수잔네 존 | 1990년 - 1991년 | 연맹 의장 |
4 | 오토 브루크너, 마르기타 칼테네거, 율리우스 멘데 | 1991년 - 1994년 | 연맹 의장 |
5 | 발터 바이어 | 1994년 - 2006년 | 의장 |
6 | 멜리나 클라우스, 미르코 메스너 | 2006년 - 2012년 | 연맹 의장 |
7 | 미르코 메스너 | 2012년 - 2021년 | 의장 |
8 | 귄터 호프가르트너 | 2021년 - 현재 | 의장 |
1990년대 이후 동유럽과 소련의 공산주의 붕괴는 오스트리아 공산당에게도 큰 영향을 미쳤다.
2. 1. 냉전 이후 (1990년대 ~ 현재)
동유럽과 소련의 공산주의 붕괴 이후, 오스트리아 공산당(KPÖ)은 새로운 도전에 직면했다. 1990년 발터 질버마이어와 수잔 손이 새로운 지도부로 선출되어 당 쇄신을 시도했지만, 내부 반발로 실패했다.[1] KPÖ는 NATO와 EU에 대한 비판적인 입장을 유지하며, 오스트리아의 EU 가입을 나치 독일의 합병에 비유하기도 했다.[1]재정적인 어려움으로 인해 주간 신문 "Volksstimme" 발행을 중단하고, 에른스트-키르히베거-하우스(EKH)를 매각해야 했다.[1] 2004년 유럽 좌파 정당 가입을 둘러싸고 당내 갈등이 심화되었고, 유럽 의회 선거에서 저조한 성적을 기록했다.[1] 2006년 발터 바이어가 당 대표직에서 사임하고, 미르코 메스너와 멜리나 클라우스가 공동 대표로 선출되었다.[1]
3. 조직
원본 소스에 오스트리아 공산당의 조직 섹션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해당 섹션은 작성할 수 없습니다.
4. 역대 당 지도부